챕터 2. 데이터 표현과 디스크 구성
1. 데이터의 표현
1) 이진수 체계
0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1은 전기가 흐르는 상태
(1) 데이터의 물리적 단위
- 비트 : 데이터 구성의 최소단위, 0과1로 구성
- 쿼터 : 2bit
- 니블 : 4bit
- 바이트 : 8bit
- 워드 : 16bit
- 더블 워드 : 32bit
- 쿼드 워드 : 64bit
- Kilobyte (KB) = 1,024 bytes= 210 bytes
- Megabyte (MB) = 1,024KB = 220 bytes
- Gigabyte (GB) = 1,024MB= 230 bytes
- Terabyte (TB) = 1,024GB= 240 bytes
- Petabyte (PB) = 1,024TB = 250 bytes
- Exabyte (EB) = 1,024 PB= 260 bytes
- Zettabyte (ZB) = 1,024 EB= 270 bytes
- Yottabyte (YB) = 1,024 ZB = 280 bytes
(2)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
논리적 단위: 디스크에 어떠한 집합체로 저장되는 것,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.
- 필드: 여러개의 byte나 워드가 모여 이뤄짐. 파일 구성의 최소단위로 항목 또는 아이템
- 레코드: 프로그램 내의 자료 처리 기본 단위(논리적 레코드)
- 블록: 저장 매체에 입출력될 때의 기본 단위(물리적 레코드)
- 파일: 관련된 레코드의 집합으로 하나의 프로그램 처리 단위
- 데이터 베이스: 집합으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자료 단위
(2) 수 체계
수치 데이터 표현은 숫자를 나타내는 것
1) 1 byte 계산
기본 단위인 1 byte에 저장되어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
2) 2 byte 계산
2byte는 최대 11111111 11111111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.
3) 비트 계산
4) 빅-엔디안(Big-endian) 리틀-엔디안(Little-endian)
- 빅-엔디안 :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방식
- 리틀-엔디안 :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방식. 컴퓨터 연산이 매우 단순해지고 빠르게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.
5) 16진수
모든 데이터를 Bit로 나타내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4 Bit 단위로 묶어서 표현
'SWUFORCE > 개론 스터디 [포렌식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0528 개론스터디 (0) | 2024.05.28 |
---|---|
240514 개론 스터디 (0) | 2024.05.13 |
0507 개론 스터디 (0) | 2024.05.07 |
0501 개론스터디 (0) | 2024.04.29 |
디스크 포렌식 - chapter 1 포렌식 도구 (1) | 2024.03.26 |